大邱高는 왜 무궁화 5엽(葉)을 校標(校章)로 하였을까?
1. 制定의 경위
1958년 3월 12일에 설립인가를 득한 본교는 1958년 5월 3일 경북고와 대구고의 期成會 및 師親會 그리고 동창회 役員 등 3단체 역원회에서 大高의 校服, 校帽, 校旗까지 구 대구고보 당시의 것으로 정하고 白三線에 황금색 ‘高’字를 정했으며 개교일도 경북중학교 개교일인 5월 16일로 변경하는 동시에 교가도 경중의 교가를 그대로 사용하게 하는 등 대외적인 제반 행사까지도 完全 同一校로 參加했었다.
그러나 경북중학교와 대구고가 경북중과 병합 추진이 성사되지 않아 1959년 4월 11일 경고와 교사를 서로 바꿔 대명동의 현교사로 이전한 후 白三線은 경고로 넘겨주고 황금색 ‘高’字에 白一線(8mm)으로 바꿔 교기와 교모에 사용하였다.

1960년대 본관전경 중 교표
2. 校標(敎章)의 象徵
1960년 10월 1일부터는 본교 학생들이 1960년 2월 28일 발발한 2⋅28데모의 선봉에 섬으로써 4⋅19를 거쳐 제2공화국을 탄생시킨 역사적 사실을 기념하는 뜻에서, 白一線에다가 無窮花 5엽 속에 꽃실[花絲]처럼 황금색 ‘高’字를 넣은 것으로 교표를 변경하여 지금에 이르고 있다.
∘ 無窮花는 國花로서 끈기와 忍耐와 강한 정신력, 끈질긴 생명력을 상징하고 있어 대고인의 박력, 패기, 개척정신과 자연스럽게 융합됨.
∘ 그 모양이 별과 같은 것은 永遠性과 찬란히 빛나는 叡知와 未知의 世界를 개척하려는 결의와 행동의 지표를 상징함.
∘ 꽃실[花絲]은 통모양으로 마주붙어 둥근기둥모양(원주)을 이루고 많은 수술의 황금색을 ‘高’字의 색으로 삼았고 대한민국의 중심에 대구고가 자리 하기를 기원함을 상징함.
∘ 白一線은 純粹와 正義와 覇氣와 迫力 등으로 우리나라 第一의 高校를 지향하는 의지를 표상함.
이 校標를 넣은 校旗는 1962년 3월에 만들어진 것이다. 그리고 배지의 색깔은 第1回는 赤色, 第2回는 靑色(하늘색), 第3回는 白色으로 하여 학년을 구별했는데, 이 색깔은 졸업생이 당해 학년도의 신입생에게 그대로 물려 줌으로써 학년 표시가 자연적으로 순환되도록 했다.
3. 校章의 規格 標準化
1989년 개교 30주년에 교직원, 학생, 동창회의 요구에 따라 새로운 교기를 제작하면서 校章의 原形이 永世無窮토록 권위 있게 전승되도록 하기 위해 校章의 규격 표준화의 필요성과 당위성이 요구되어, 그 동안 사용해 온 사소한 다른 형태의 校章을 수집·검토하여 가장 시각적이고 아름다운 형태로 도안하여 이를 규격화하고 거기에 대고인이 지향하는 거룩한 정신을 담았다.
이같은 대구고 校章의 상징성을 담아 2⋅28민주운동 기념탑을 교정에 건립함은 매우 의의가 있는 사업으로 대구고가 초창기에 추구했던 인간상과 학생들의 정신과 행동 특성을 상징하고 있는 校章과 2⋅28민주운동 당시 선배들의 정신이 융합된 기념 조형물 건립은 학교사에 영원히 빛날 일이요, 대고인의 자긍심이요, 자랑이기에 우리 모두 대구고의 웅비를 위해 힘을 모아 대구고의 브랜드를 업그레이드 합시다.